2022. 7. 23. 23:58ㆍ영화 배경, 영화 제작, 영화 연기, 장르 이론
무성영화 시대적 상황과 나라별 영화산업
극영화의 형식의 기초를 조르주 멜리에스. 이것을 발전시킨 에드윈 S포터의 〈대열차 강도〉. 본격적으로 극영화형식을 완성한 데이비드 그리피스의 〈국가의 탄생〉, 그리고 프랑스 아방가르드 예술영화의 시도. 독일의 표현주의의 영화의 탄생 등 무성영화시대에는 상업과 예술로서의 영화들이 왕성하게 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최초의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인 로버트 플레허티의 등장은 영화의 다양성을 더욱 발전시켰죠. 영화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고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늘 새로운 영화 제작의 단계로 도약했습니다.
무성영화 시대의 시대적 상황
극 영화의 기초를 확립하고 영화의 상업적, 예술적 성장을 주도했던 무성영화 시대의 시대적 상황은 어땠을까요? 달세계 여행을 만든 조르주 멜리에스가 극영화의 기초를 다지긴 했지만, 이것을 정리하고 발전시킨 것은 토마스 에디슨을 돕고 있던 에드윈 S포터였습니다. 그는 1903년에 〈대열차 강도〉라는 영화를 만들었죠. 이 작품은 그 당시 영화의 주를 이루면 무대연극의 단순한 촬영에서 벗어나서 여러 장면을 나눠서 촬영하고 편집하는 그리고 완성해서 권선징악을 하는 극영화였습니다. 이 작품에서 포터는 이동 촬영을 시도하고, 서부영화의 모체가 되는 촬영기법들을 개발해서 극영화 형식을 창안하는 업적을 남겼습니다. 대열차 강도 영화를 계기로 미국에서는 흥미위주의 서부극이 지속적으로 제작이 되었는데요, 프랑스에서는 이런 작품을 저속한 속물이라고 혹평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1907년, 예술가들이 '필름 다르'라는 영화회사를 착립 하게 됩니다. 본격적으로 극영화 형식을 완성한 감독은 데이비드 그리피스였습니다. 그는 <국가의 탄생(1915)>을 통해서 다양한 촬영, 편집 테크닉을 선보이면서 극영화 형식을 규격화했습니다. 그리피스는 사실상 신문기자 출신으로 시와 소설을 쓰면서 영화에 매료되어 시나리오를 쓰기 시작했죠. 에디슨영화사에서 배우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그리피스는 롱숏, 미디엄숏, 클로즈업 등 다양한 숏의 변화를 통해 극적 구성을 만들었으며 연속 편집으로 극영화 형식을 발전시켰습니다. 〈국가의 탄생〉의 흥행 성공 이후에 활발해진 영화제 작은 기후가 맑고 건조해서 야외 촬영에 알맞은 데다가 필름을 오랫동안 보관하는 데에도 적합한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에서 활성화하고 발전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영화산업은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죠. 그러나 미국은 그리피스, 세실 비 데밀, 찰리 채플린 등 위대한 제작자들, 감독자들에 의해서 세계 영화 시장을 석권하는 실적을 올리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합니다. 1915년을 전후하여 그리피스 등이 주도한 영화 제작의 비약적인 발전은 영화를 세계인이 사랑하는 문화 예술로 승화시키는 초석이 되었습니다.
미국 영화 산업 발전
1차 세계대전 중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미국 영화산업는 1920년에 들어서면서 황금시대를 구가하게 됩니다. 할리우드는 영화인들이 물론 영화 팬들로 북적거렸고요. 영화관은 장사진을 이루고 있는 시대였습니다. 영화가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갖게 되자 영화업자 자신들이 스스로 검열제를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영화는 발전하게 되죠.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할리우드의 규모는 더욱더 커지고 제작 편수도 날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한편 유럽 독일에서는 비현실적인 분장과 세트, 그리고 광란의 강렬한 전율적 표현으로 살인을 계속하는 미친 사람의 망상을 그려낸 불멸의 명화로 화제가 된 표현주의 영화인 〈칼리가리 박사〉를 비롯하여 〈고렘〉, 〈아침부터 밤까지〉, 〈죽음의 계곡〉 등 표현주의 영화가 제작돼서 독일 영화가 질적으로 발전되면서 세계 속에 독일 영화의 존재감을 확실하게 각인시키게 됩니다.
프랑스 영화
한때 부진했던 프랑스 영화는 아벨 강스의 〈전쟁과 평화〉, 〈철로의 백장미〉 등을 통해서 프랑스 영화의 건재함을 증명하게 됩니다. 프랑스의 영화예술 운동은 영화 작가들의 영화 정신을 기반으로 하는데요. 아방가르드, 즉 전위영화운동을 활발하게 펼치게 됩니다. 이 아방가르드운동은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은 예술 운동으로 새로운 정신을 추구했는데, 영화는 줄거리에 의지하지 않고 이미지의 주체성을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운동은 상업 영화에도 큰 영향을 주었는데요, 지나치게 실험적인 예술 영화로 관중의 외면을 받아 퇴색해 갔습니다. 기록 영화 작가인 로버트 플래허티는 1922년에 〈북극의 나누크〉를 만들어 최초의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이 되었습니다. 그는 존 그리어슨과 같이 다큐멘터리 장르와 전통을 만들었고요. 영화는 탄생이래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발전시켜왔는데요, 토머스 에디슨, 뤼미에르 형제, 조르주 멜리에스, 에드윈 에스 포터, 데이비드 그리피스, 플레허티 등 초창기의 많은 감독들, 제작자들, 이들의 공헌으로 역사가 기록되죠. 할리우드 영화산업은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비약적이 발전을 이루게 됩니다. 할리우드는 1920년대 들어서면서 영화산업의 황금시대를 누리게 됩니다. 할리우드는 영화산업의 메카로 떠올랐고 다양하고 흥미진진한 영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프랑스와 독일도 각기 다른 색깔을 가지고 영화를 발전시켰고 서로서로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영화는 계속 발전하게 된 것입니다.
'영화 배경, 영화 제작, 영화 연기, 장르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시나리오 양식과 중요성 (0) | 2022.07.24 |
---|---|
해외 영화의 역사와 특징 (0) | 2022.07.24 |
영화 배급과 상영에 대하여 (0) | 2022.07.23 |
단계별 영화 제작과정과 영화 관련 용어 (0) | 2022.07.23 |
뤼미에르 형제 & 조르주 멜리에스와 영화의 발전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