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배경, 영화 제작, 영화 연기, 장르 이론(20)
-
영화는 과학, 스토리, 예술
영화는 과학, 스토리, 예술 영화는 과학, 스토리, 예술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과학으로써의 영화는 에디슨이 발명한 키네토스코프, 그리고 뤼미르형제가 만든 시네마토그라프, 그 이후에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서 영화도 계속 발전되고 있죠. 또 영화는 스토리입니다. 영화는 스토리가 없이 세상에 나올 수가 없죠. 1세대 무성 영화에서부터 4D 영화들까지 영화의 ㅅ토 리 없이는 사람들과 만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영화는 예술이죠. 영화는 예술인가 산업인가, 그런 많은 고민들도 있었지만, 영화는 예술이자 산업인 것이죠. 영화는 제7의 예술로 선언된 예술영화입니다. 이 3가지 정의에 대해 이번 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는 과학 영화가 탄생된 가장 큰 힘은 과학의 힘이었죠. 특히 우리가 알고 있는 유..
2022.07.25 -
영화는 산업, 힐링, 소통
영화는 산업, 힐링, 소통 영화는 산업이고, 영화는 힐링이고, 영화는 소통입니다. 산업적으로 상당히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죠. 영화는 힐링입니다. 우리 마음속의 문제들이 영화를 보면서 치 유죄고 힐링되는 것이죠. 그리고 영화는 소통입니다. 영화를 보면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되는 것이죠. 영화는 산업이다. 영화가 가지는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원 소스 멀티유스(One Source Multi Use)죠. 영화가 완성되면 다양한 윈도를 통해서 부가 산업을 활성화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이익을 창출하게 되죠. 이러한 산업적 특징을 가장 많이 가진 영화가 <스타워즈> 시리즈입니다. <스타워즈>는 1977년 세상과 조우하면서부터 다양한 부대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 내 거의 모든 대형 서점에는 항..
2022.07.24 -
유성영화 시대로 변천사
유성영화 시대로 변천사 재즈싱어의 흥행으로 유성영화의 시대를 맞이한 영화는 더욱더 상업적이자 예술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영화학자들은 유성영화가 영상 표현의 순수성을 잃는다는 주장을 하였지만 대중들은 유성영화에 열광했습니다. 무성영화는 끝까지 저항했지만 대세의 흐름에는 역부족이었고 결국 영화학자들도 유성영화를 인정하게 됩니다. 유성영화의 등장으로 영화는 관객들에게 더욱더 사랑받게 되고 다양한 영화들이 만들어졌고요, 새로운 스타들이 탄생했습니다. 1890년대에 토머스 에디슨과 조르주 멜리에스에 의해서 사운드 영화가 실험된 후부터 꾸준히 유성영화 연구가 계속되었습니다. 이 유성영화가 갑자기 무성영화가 끝나고 딱 등장한 것이 아니고요, 그전부터 유성영화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었다는 것이죠. 마침내 1..
2022.07.24 -
영화 시나리오 양식과 중요성
영화 시나리오 양식과 중요성 영화 시나리오는 소설, 시와 달리 양식이 있어야 합니다. 흔히 소설은 과거형 작법으로 쓰이는데요, 그와 달리 영화는 현재형 작법으로 쓰입니다. 그리고 헤드라인, 대지문, 소지문, 등장인물, 대사, 장면 전환 등 시나리오를 쓰기 위한 작법 기술을 필요하죠. 이렇듯 시나리오는 소설, 시와 다른 형태의 창작 작업인 것입니다. 시나리오의 묘사는 심플하고 눈앞에 영상이 펼쳐지는 것처럼 써야 합니다. 소설은 과거형 작법이지만 시나리오는 현재형 작법입니다. 시나리오를 쓰려면 동기와 목적이 분명해야 하고, 시나리오 창작을 위한 정확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처음부터 끝까지 인내력을 가지고 완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화 시나리오 양식 시나리오 양식을 살펴볼까요? ..
2022.07.24 -
해외 영화의 역사와 특징
해외 영화의 역사와 특징 영화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바뀌고 발전하게 되었고 새로운 표현기법이 제시되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에 이탈리아에서는 사실적이고 감동적인 영화들을 선보여서 관객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무방비 도시〉, 〈전진〉, 비토리오 데 시카의 〈자전거 도둑〉과 〈구두닦이〉, 루이지 잠파의 〈평화에 산다〉 등을 통해 새로운 표현 기법을 제시했습니다. 네오리얼리즘의 특징은 카메라와 현실 세계의 직접적인 만남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30년대의 영화가 계산된 극적 스토리를 전달해 왔다면 네오리얼리즘은 '영상'의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데에서 출발했습니다. 카메라가 파괴된 로마의 비참한 현실 생활을 있는 그대로 꾸밈없이 그대로 보여 줄 때, 작가가 느낀 현..
2022.07.24 -
무성영화 시대적 상황과 나라별 영화산업
무성영화 시대적 상황과 나라별 영화산업 극영화의 형식의 기초를 조르주 멜리에스. 이것을 발전시킨 에드윈 S포터의 〈대열차 강도〉. 본격적으로 극영화형식을 완성한 데이비드 그리피스의 〈국가의 탄생〉, 그리고 프랑스 아방가르드 예술영화의 시도. 독일의 표현주의의 영화의 탄생 등 무성영화시대에는 상업과 예술로서의 영화들이 왕성하게 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최초의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인 로버트 플레허티의 등장은 영화의 다양성을 더욱 발전시켰죠. 영화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고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늘 새로운 영화 제작의 단계로 도약했습니다. 무성영화 시대의 시대적 상황 극 영화의 기초를 확립하고 영화의 상업적, 예술적 성장을 주도했던 무성영화 시대의 시대적 상황은 어땠을까요? 달세계 여행을 만든 조르주 멜리에스..
2022.07.23